[북유럽의 여름] 독일 함부르크 - 함부르크 하펜시티, 도시재생 프로젝트
Hamburg, Old & New, New generation hafencity
■ 워터프론트로써의 함부르크
항구도시로 불리어지는 함부르크는 9세기부터 도시가 만들어지기 시작했으면서, 접하고 있는 엘베강과 알스터호수를 이용해서 워터프론트로써의 도시 정체성과 전반적인 도심기능을 만들어내었다. 위에 보이는 사진은 함부르크의 가장 핵심적인 공간인 알스터호수의 전경으로 구도심 부 중앙에서 워터프론트로써의 도시 이미지를 대표하는 공간이다.
물론 함부르크의 워터프론트를 대표하는 공간이 호수 주변이아닌, 새로이 건설되고 있는 하펜시티 쪽과 IBA에서 추진하고 있는 항구도시 쪽을 말할수도 있겠으나, 이번의 포스팅에서는 함부르크의 가장 대표적인 공간이자 시청사가 위치하고 땅값이 제일비싼 알스터 호수 주변의 도시공간에 대해서 작성해보았다.
■ 함부르크의 구도심 지역
시작을 너무 거창하게 해버린것 같은 느낌이 들지만(?), 여긴 개인의 간단한 여행 블로그니까 쉽게쉽게 포스팅을 해보자. 함부르크는 사실 면적으로만 보면 아래와 같은 크기의 엄청난 규모이다. 이는 1900년대에 함부르크 주변부에 해당하는 읍, 면부를 전부 통합하여 지금의 함부르크시가 된걸로 크기가 755㎢ 으로 605.21㎢에 해당하는 서울의 면적보다 크다.
이렇게 큰 모든 함부르크 지역을 다 돌아보기엔 짧은 일정으로는 불가능하였기에, 진정한 함부르크라고 이르는 옛 도시성곽 내부 지역을 중심으로 조사(?) 답사를 하는 계획으로 함부르크 일정을 소화하였다. 이 지역에 해당하는 경우는 오른쪽 사진에서 보이는 굉장히 조그만한 일부분에 해당하는 곳이다.
■ 함부르크의 새로운 바람, 하펜시티[hafencity project]
하펜시티(HafenCity)는 독일, 함부르크(Hamburg) 시의 함부르크-미테(Hamburg-Mitte) 지구에 위치한 행정구역이다. 이곳은 케비더와 완드람이라 불리는 엘베강(the Elbe river)의 섬에 위치하고 있다.
함부르크시의 하펜시티 프로젝트는 오래된 항구의 창고들을 사무실, 호텔, 상점, 오피스빌딩과 주택지역으로 변모시키려는 계획이다. 이 프로젝트는 토지 개발규모가 약 2.2km²에 이르는 유럽에서도 가장 큰 재개발사업이다. 하펜시티 지역은 자유 무역항으로 쓰이던 곳이었으나, EU가 자유경제지역이 되면서 자유 무역항의 경제적 중요성이 쇠퇴해버렸다. 함부르크의 자유 무역항 규모는 축소되었으며, 하펜시티 지역도 규제에서 해제되었다. 모든 개발사업이 완료되면 12,000명을 위한 주택과 40,000명을 위한 업무단지가 형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예측은 2020년에서 2030년경에 가능한 일로 확실치는 않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독일의 제 1의 항구도시인 함부르크에서는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 항만 재개발에 착수해 2025년에 하펜시티 완공을 목표로 현재에도 많은 공사들이 진행중이다. 하펜시티의 재개발은 항구기능의 낙후와 도심기능 쇠퇴, IBA 쪽(남쪽지역)으로 신항 개발이 가장 큰 이슈로 작용하면서, 시작된 개발이였다. 함부르크 하펜시티 지역의 경우, 컨테이너를 이용한 선박 사업이 필요해진 시점에, 수심이 얕은 엘베같으로 인하여 낙후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논문과 여러 자료를 통해서 수집한 내용이였는데, 여기서 잠깐 이해가 가지 않는점은 지금 현재 엘베강으로 들어오는 컨테이너 선박이 보였던거 같아서, 조사한 내용이 맞는 것인지 의문이 생긴다. 아무튼 하펜시티 지역은 이러한 함부르크 재개발 사업으로 인해서 요즘 가장 많은 공사를 하고 있는 지역이며, 유명한 건축가들의 건축디자인을 볼 수 있는 장소이다.
■ 함부르크 하펜시티[hafencity project] 들어가기
함부르크에서 하펜시티로 가는 거리라는 포스팅을 저번에 작성을 하였는데, 이제는 정말 하펜시티로 진입하는 포스팅을 작성하고자한다. 하펜시티로 드디어 입성을 하는(?), 아무튼 함부르크와 하펜시티의 느낌은 정말 다르다. 여기서 다르다는 것은, 함부르크 구도심지역에 있으면, 옛날 시대에 현대의 사람들이 살아가고 있는 느낌이라면, 하펜시티 쪽은 함부르크의 도시가 지금 현대에서 환생한 듯한 느낌을 주는 지역이다.
왼편이 오래된 Old 건물이고 오른편이 새로운 하펜시티의 New 건물들이다. 확연한 이미지 차이를 보이는 Old & New, 그래도 전체적인 재료나 색상 등을 통일시킴으로써 도시의 통일성있는 외관을 연출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렇게 두층으로 된 다리들을 많이 만나게 된다. 또 강가인근의 다리들은 이렇게 높이가 올라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런 다리의 높이로 인해서 홍수 범람시 이 다리를 사용해서 대피하거나 한다고 한다. 하펜시티의 경우 이런 홍수나 재난에 대비하기 위해서 대지 레벨을 기존대지보다 올려서 계획을 하였다.
※ 하펜시티 인포센터
하펜시티 관련 자료들과 약간의 함부르크 역사와 자료가 보관되어있는 하펜시티 인포메이션 센터
■ 함부르크 하펜시티[hafencity project] - Sandforhafen
엘베필하모닉 건물이 있는 지역으로 거의 완공이 된 상태의 지역이다. 그러나 애초에 계획했던 엘베필하모닉의 건축예산을 초과하여 몇몇 다른 유명건축가의 건물은 아직 완공시기가 불투명한 상태이다. 그러나 다른 하펜시티 지역에 비해서 굉장히 많은 건축물들이 들어서 있는 구역이다. 또 입주자가 거의 차있을 정도로, 프로젝트가 성공적이라고 한다.
여기가 마젤란 테라스라고 한다. 여기에 앉아서 간단한 요기거리를 할수 있고 여유롭게 앉아서 강바람을 맞을 수 있다. 또 저 멀리 보이는 엘베필하모니 건물과 주변의 새로운 디자인의 건물들이 함부르크 구도심과는 또 다른 느낌을 선사해준다.
※ 엘베필하모니 건물 내부를 볼수 있는 센터
사실 건축과를 나온 학생으로써 모형의 수준은 실망이 컷다. 그래도 센터 외부에 있는 동그란 확성기간은 모양에서 여러 오케스트라 음악들이 흘러나온다. 잠시 귀를 대고 음악을 들어볼 수 있는 곳이다.
한창 필하모니 건물은 공사중이다. 인터넷으로 공사장 투어를 신청하고 가면 공사현장을 볼 수 있다고 한다.
■ 함부르크 하펜시티[hafencity project] - Grasbrookhafen
하펜시티의 남서쪽 구역인 Grasbrookhafen도 Sandforhafen과 같이 건물들이 대부분 차있는 구역이다. 제일 처음 건설됬다는 건물이 있는 구역인데, 가장 먼저 건물을 분양하여, 하펜시티 프로젝트를 성공으로 이끌었던 선두 구역이다. 유학생에게 건네들은 얘기로는 초창기 하펜시티 계획당시에, 하펜시티가 성공할 거라고 보는 사람은 적었다고 한다. 비꼬는 말로 하펜시티에 토끼가 살수 있겠냐는 말도 있었다고 한다. 그 만큼 함부르크 도시지역에는 토끼나 다른 여타 동물들이 살만한 녹지 공간들이 많이 조성되 있다는 얘기이기도 하면서, 하펜시티가 그런 함부르크 만한 도시겠냐는 비꼬는 말로 해석 될 수도 있는 말이 아닐까 한다.
■ 함부르크 하펜시티[hafencity project] - Brookforhafen
하펜시티의 동쪽 구역에 해당하는 곳으로, 아직 많은 건물들이 공사중이다. 사실 아직 대지기초 공사가 한창 중이라, 멀쩍이 서서 구경만 하게 된 구역이다. 물론 이곳에는 전에 봤던 인포센터보다 함부르크의 역사가 잘 간직된 인포센터와 해양박물관이 있기때문에 가게 된다면 들리는 것을 추천한다. (단, 입장료가 있는데, 함부르크 카드로 일정부분 할인을 해준다) 또 함부르크에서는 한글을 구경하기가 힘들었는데, 여기 당당히 부산교라는 다리가 있다. 오랜만에 느껴보는 한국의 자랑스러운 한글이 보이는 구역이다. 아, 하펜시티는 항구도시이기에 다른 국제항구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있는데 그중 하나가 부산이라고 한다.
◇ 로그인 필요 없으니, 나가시면서 추천 버튼 꾸욱, 눌러주세요. 좋은 글로 보답하겠습니다 :)
'Piel's Travel > 해외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유럽의 여름] 독일 함부르크 - 하펜시티로 가는 길, (0) | 2013.08.30 |
---|---|
[북유럽의 여름] 독일 함부르크 - 함부르크의 다양한 장소들 (0) | 2013.08.29 |
[북유럽의 여름] 독일 함부르크 - 함부르크의 녹지공간과 친수공간 (0) | 2013.08.29 |
[북유럽의 여름] 독일 함부르크 - 함부르크에서의 숙소 (0) | 2013.08.28 |
[북유럽의 여름] 독일 함부르크 - 함부르크 메인 스트리트, 시청에서 중앙역까지 (0) | 2013.08.28 |